윤지미산
산행일시 : 2008년 09월 25일 목요일 2차 산행 (1차 산행은 2006년 06월 22일 목요일)
산행위치 : 백두대간 윤지미산 (속리산권) 영동
산행날씨 : 비
산행거리 : 17.5 km
산행시간 : 5시간 10분 (후미기준)
산행코스 : [09 : 54] 화령재에서 입산-->윤지미산-->지장봉-->무지개산-->신의터재-->지기재 하산
[10 : 54] 윤지미산
[12 : 25] 무지개산
[13 : 40] 신의터재
[15 : 07] 지기재 하산
산행소감 : 1차와 달리 2차 산행은 거꾸러 화령재부터 오르기시작했다
비가 아침부터 뿌린다 입산시점부터 안 오길 기대했지만 혹시나가 역시나다
화령재에 내리는 순간부터 오늘 비와의 전쟁이다 화령재에서 몇컷 찍어본다
사진이 새카맣다 ...윤지미산 까지는 급경사 오르막이다 숨을 몇번 헐떡이다보니
윤지미산이다 산이라곤 이름처럼 이쁘지도 웅장하지도 않은 밋밋한 육산에 돌덩이
몇개 줏어모아놓은 돌무덤위에 누군가 페인트로 윤지미산이라 적어놓왔다.
힘들게 올랐는데 실망이다 ....
백두대간 구간 중에 고도가 가장낮고 전형적인 시골미가 나는 동네 뒤산 느낌이다.
전구간이 육산이고 조망도 별로고 윤지미산 부터 신의터재 구간은 그냥 지루한 느낌밖에 안든다
더군다나 비까지와서 조망도없고 전체적으로 지루한 구간이었다는 느낌이다.....
윤지미산
속리산 자락의 윤지미산은 예로부터 소머리산으로 불리어 왔는데, 이 산이 언제 윤지미산으로 둔갑
되었는지 알수 없지만 윤지미의 뜻은, 사서삼경 대학에 나오는 '윤집걸중(允執乞中)-"인생 전반을
다 안다," "세상을 포용한다", "세상을 두루 알아 맞추다" 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하여 윤지미산의 상
징성을 부여한 것으로 본다고 하는데, 이것은 쌀, 누에 곳감 의 삼백의 고장 상주사람들의 인품과 학
풍을 은연중에 보여주는 것이라 ....믿거나 말거나 일부 등산객들 사이에 김지미산이라 칭 했는데
윤지미라는 여인이 그 봉에서 하도 힘들어해서 그봉을 윤지미 한테 팔았다는 산꾼들의 우스개 이야기가 전한다.
노란선이 본인의 등산로
화령
화령재
상주 ~청원간 고속도로가 시원하게 뚫여있다
윤지미산 정상 돌 무덤위에 볼폼없이 서있는 정상석 누군가 윤지미산이라 적어놓았다.
무지개산에서 본 윤지미산(소머리산)
무지개산 정상의 삼각점
멀리보이는 윤지미산과 그뒤쪽이 봉황산
윤지미산 뒤편이 봉황산
신의터재 전경 의병 김준신 장군 추모비도 옆에 세워져있었다
신의터재의 내력
임난 이전에는 신은현(新恩峴)이라 불리었고 임난때 의사 김준신(金俊臣)이 이재에서 의병을
모아 최초의 의병장으로 상주진에서 많은 왜병을 도륙(屠戮)하고 임진4월25일 장렬하게 순절
한 사실이 있은 후부터 "신의터재"라 불리었으나 일제때 민족정기 말살 정책으로 "어산재"로
불리게 되었고 문민정부 수립후 광복50주년을 맞이하여 민족정기를 되찾고 후손들에게 이 사
실을 알려 교육의 장으로 삼고자 옛 이름인 "신의터재"로 1996년12월에 고쳤다.
지나 온 백학산
바위솔
구절초
지기재 옆 사과밭
'백두대간 1차 2차 (完.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26회 속리산 종주 (동영상) (0) | 2006.08.10 |
---|---|
백두대간 25회 봉황산 (동영상) (0) | 2006.07.20 |
백두대간 23회 백학산 (동영상) (0) | 2006.06.11 |
백두대간 22회 용문산 국수봉 (동영상) (0) | 2006.05.18 |
백두대간 21회 추풍령 (동영상) (0) | 200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