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 해수욕장
........................................................
일시 : 2025년 02월 22일 토요일
구분 : 부안
코스 : 부안 신 재생에너지파크-새만금 홍보관-변산 해수욕장. 사랑의 낙조공원
거리 : 10.2 km
시간 : 3시간 30분(안내판기준)본인의 기록은 아래 참조
날씨 : 맑음
안내 : 거인 산악회 서해랑길 팀
서해랑길 부안 48 코스
부안 신 재생 에너지 파크~변산 해수욕장까지 남진 방향
산길샘 나들이에서의 본인 기록입니다.
두루누비에서의 본인의 기록입니다.
월포리 정자 쉼터
월포리 경로당
월포마을은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풍요로운 포구였다. 임진왜란 때 잿더미가 되었던 마을을 다시 일으키면서 반달 모양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월포(月浦)라고 불렀다. 1914년 이전에는 부안군 하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하서면의 월포리, 문수동, 비득치, 대광리, 소광리와 노계동, 금광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하서면 백련리로 개설하였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신재생에너지파크
30번 국도 우측 격포 변산 방향으로~~
신 재생 에너지 파크
부지 35만 6000㎡에 신재생 에너지 테마파크, 실증 연구 단지, 산업 단지 등을 조성하여 2011년 완공하였다. 신재생에너지의 연구개발과 상용화의 실증 및 제품 생산, 체험 관광을 목적으로 건설된
국내 첫 특화 단지이다.
백련 버스 정류장
백련 교차로. 30번 국도(변산로) 아래 지하통로 비득치 방향으로~
1914년 이전에는 부안군 하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하서면의 월포리, 문수동, 비득치, 대광리, 소광리와 노계동, 금광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하서면 백련리로 개설하였다.
백련마을
변산의 의상봉과 와우봉에서 흘러내린 물이 문수동 계곡 아래에서 못을 이루고 그 못에서 하얀 연꽃이 피어났기 때문에 백련동이라고 불렀으며, 백련(白蓮)마을은 이로부터 유래한 지명이다. 삼산마을은 백련리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마을로서 산 세 개가 마을을 둘러싸고 있어 삼산(三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삼매 또는 산매라고도 불리며, 마을의 도로명은 가락골길이다. 삼산마을 서쪽에 금광(金光)마을이 있다. 마을 뒷산에 있었던 금광사(金光寺)라는 절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백련초등학교 인근에 있는 금산(金山)마을은 원래 노계마을에 속했는데, 마을이 점점 확장하고 또한 노계마을과는 변산로(邊山路)로 나누어졌기 때문에 1983년 행정리로 독립하였다. 백련마을 동남쪽 방향으로 들어가는 변산 계곡을 문수동(文殊洞)이라고 하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문수사가 있었다고 전한다. 문수마을은 문수사 언저리에서 생겨난 마을이다. 신촌(新村)마을은 문수동 입구에서 백련마을과 마주 보며, 마을이 처음 형성되었을 때에는 월포리에 속하였다가 마을이 점점 커지자 1962년 행정리로 독립하였다. 비득(飛得)마을은 비들기재 너머 산자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새만금 방조제가 생기기 전에는 바닷물이 마을 앞에까지 넘실거리던 어촌이었다. 마을 앞 갯벌은 마을 주민들의 주요한 삶의 터전이었다. 비득마을 안쪽 골짜기에는 대광(大光)마을이 있고 바로 옆 골짜기에는 소광(小光)마을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광마을은 광계리(廣溪里)에서 대광(大廣)으로 바뀌었다가 지금은 대광(大光)으로 한자가 바뀌었다. 백련리 서북쪽에 자리한 월포마을은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풍요로운 포구였다. 임진왜란 때 잿더미가 되었던 마을을 다시 일으키면서 반달 모양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월포(月浦)라고 불렀다. 1914년 이전에는 부안군 하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하서면의 월포리, 문수동, 비득치, 대광리, 소광리와 노계동, 금광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하서면 백련리로 개설하였다. 서쪽으로 얼마 전까지 바다였던 새만금 간척지가 있다. 백련리는 산과 들과 바다를 안고 있는데 백련마을 등 9개의 마을은 변산에 의지하여 계곡과 산자락에서 마을을 이루었고, 노계마을은 들판에, 월포마을은 해안가에 자리 잡았다. 하서면 백련리와 변산면 중계리의 경계를 이루는 변산 능선에는 변산에서 제일 높은 의상봉[508m]이 솟아 있고, 변산의 백련리 계곡에는 문수제와 금광제 등 저수지 두 곳이 있다. 백련리의 동쪽은 하서면 석상리와 상서면 청림리, 남쪽은 변산면의 중계리와 대항리, 서쪽은 황해, 북쪽은 하서면 장신리와 접한다. 면적은 16.01㎢이며, 이 중 밭이 1.52㎢, 논 0.72㎢, 임야 11.78㎢ 등이다. 2020년 12월 31일 현재 삼산리·금광리·노계리·금산리·월포리·신촌리·문수리·백련리·대광리·비득리·소광리의 11개 행정리에 444가구, 750명[남 369명/여 381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부안에서 격포 방향으로 국도 제30호선이 지나가고, 옛길인 변산로가 여러 마을을 거치면서 백련리를 관통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부안 잼버리 공원의 팔각정과 조형물 너머로 2023년 제 25회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대회가 열린 장소입니다.
비득 마을 뒤편 내변산 의상봉
비득(飛得)마을은 비들기재 너머 산자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새만금 방조제가 생기기 전에는 바닷물이 마을 앞에까지 넘실거리던 어촌이었다. 마을 앞 갯벌은 마을 주민들의 주요한 삶의 터전이었다. 비득마을 안쪽 골짜기에는 대광(大光)마을이 있고 바로 옆 골짜기에는 소광(小光)마을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광마을은 광계리(廣溪里)에서 대광(大廣)으로 바뀌었다가 지금은 대광(大光)으로 한자가 바뀌었다.
비득 마을 버스 정류장
묵정교차로 새만금 전시관 방향으로
잼버리 공원
정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변산바다로 1822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이다. 세계잼버리가 열렸던 야영지를 비롯해서 새만금 3 구역 현장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하서면에서 새만금 방면으로 향하는 도로 옆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게 특징이고, 잼버리공원과 경관 쉼터가 함께 조성되어 있다. 공원에는 특이한 형태의 조형물과 잼버리공원이라는 현판이 달린 정자를 볼 수 있다. 조형물은 스카우트 항건을 서로 엮은 형태로, 스카우트 대원들 간의 끈끈한 형제애와 결속을 나타내며, 청소년들이 세계연맹의 휘장을 높이 들며 함께 꿈꿔 나가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고 한다. 또한 공원 우측에는 세계스카우트가 열렸던 새만금 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초록빛 싱그러운 자연으로 물든 모습을 보면 마음이 시원해지는 듯한 곳이다.
드넓은 잼버리 야영장
새 만금로 직진
우측이 잼버리 공원
뒤 돌아본 내변산 방향
의상봉(군부대) 좌측이 옥녀봉이 보인다.
새만금 홍보관 방향 좌측
새만금 홍보관
새만금홍보관(새萬金弘報館)은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역사와 세계 최대규모인 새만금간척개발사업의 상황 등을 홍보하기 위해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에서 운영하는 새만금 홍보시설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있는 새만금 간척 사업 홍보 및 전시 시설. 새만금 간척 사업 은 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에서, 고군산 군도(古群山群島)의 신시도(新侍島)를 거쳐,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로 이어지는 총 33.9㎞의 방조제를 설치하여 약 4만㏊의 간척지를 조성하는 대단위 국토 개발 사업이다. 조성된 간척지는 농업 용지, 산업 단지, 관광 단지, 과학 연구 단지, 신항만 물류 단지 등을 건설하여 서해안 시대를 선도하는 핵심 지역으로 개발한다. 새만금 홍보관은 세계 최대 규모인 새만금 간척 사업의 진행 과정과 역사 등에 대한 홍보 및 전시를 위해 건립되었으며,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1995년 8월 3일 새만금 전시관이 개관하여 새만금 간척 사업의 추진 과정과 역사를 알리기 위해 전시관, 영상실, 전망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운영되다가, 시설 노후화로 철거되었다. 2010년 국제적 수준의 최첨단 홍보관 건립 공사를 시작하여, 2012년 7월 19일 새만금 홍보관이 개관하였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새만금 홍보관 3 층에서 바라본 새만금 방조제
멀리 보이는 고군산 군도 전경
새만금 방조제앞
종점까지 6km 남았습니다.
새만금 간척 박물관
시건이 부족해서 아쉽게도 그냥 패스~~
조개미교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일반국도30호선에 위치해 있는 조개미교는
교량길이가 200.4m 이며 교량 폭은 21.2m 입니다.
상부형식은 아치교이고 바다와 어우러져 멋지고 아름다운 교량이다.
마주보이는 고군산 군도의 비안도와 두리도
마주보이는 고군산군도 (선유도)
고군산도라는 명칭은 오늘날 고군산군도의 중심 섬인 선유도에서 유래했다. 군산도라 불리었던 선유도에 조선 태조가 금강과 만경강을 따라 내륙에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고자 수군부대인 만호영을 설치하였다. 세종 때 와서 수군부대가 옥구군 북면 진포(현 군산)로 옮겨가게 되면서 진포가 군산진이 되고 기존의 군산도는 옛 군산이라는 뜻으로 고군산이라 불리게 된 데서 유래한 것이라 전한다.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이 관할하는 제도로 선유도, 신시도, 무녀도, 장자도, 야미도, 관리도, 방축도, 말도, 명도, 대장도, 비안도, 두리도 등 12개의 유인도와 횡경도, 소횡경도, 보농도, 십이동파도 등 40여 개의 무인도로 이뤄져 있다.
경관이 빼어나 관광지로 유명하며,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3개의 중심 섬(선유도, 신시도, 무녀도)과 장자도, 야미도, 대장도는 새만금 방조제 및 고군산로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대항리 패총부안 대항리 패총(扶安 大項里 貝塚)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있는 패총이다. 1981년 4월 11일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다.
패총(貝塚)이란 수렵·어로·채집에 의하여 살아온 옛 사람들이 조개를 먹은 뒤 버린 조개껍데기와 생활쓰레기가 함께 쌓여 이루어진 유적으로 조개더미라고도 한다.
대항리패총은 변산 해수욕장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합구미 마을 동쪽 산 밑 밭에 있다. 바닷가에 접한 밭이 파도에 깎여 낭떠러지를 이루자 지층이 드러나 1947년 발견되었다. 규모는 남북 약 14m, 동서 약 10m이며, 130cm 깊이의 암반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층위가 쌓여있다. 이 패총의 조개껍질층에서 빗살무늬토기 조각과 돌로 만든 석기(石器)가 나와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간접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대항리패총은 고고학적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있어 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전하고 있다.
사랑의 낙조공원과 정자
사랑의 낙조공원
낙조를 조망하면서 연인들의 사랑 나누기 좋은 장소입니다.
일몰이 아름다운 멋진 뷰를 제공 합니다.
변산해수욕장에서 이어진 마실 길 연결 데크길을 따라 올라가면 주변 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을 만날 수 있는데 바로 '사랑의 낙조공원'입니다. 가볍게 오르면 변산해수욕장과 바다의 풍경이 품에 들어옵니다. 사랑의 낙조공원에서 보는 바다 풍경도 좋고 바다 쪽으로 난 산책로를 따라 내려가면 기암괴석과 바다의 멋을 가깝게 즐길 수 있습니다. 사랑의 낙조공원에 있는 '하트손' 조형물은 커다란 손으로 하트를 만들어 포토존을 조성했는데요. 이 의미는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체의 일부는 손인데 사랑의 첫 단계가 손잡기이며 사랑하는 사람과 마지막까지 손을 잡고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남자와 여자의 손으로 하트를 조각했다고 하네요. 이 작품에서 사랑의 인증 사진을 남기면 약속이 깨지지 않고 영원한 사랑으로 남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긴 작품이라고 합니다. 사랑하는 가족, 연인, 친구 등 이 하트손에서 다양하게 연출하여 영원한 사랑을 인증하는 사진을 찍어 추억으로 남겨보세요~~
사랑의 낙조공원의 하트모형 조형물
인증 한컷
변산 해수욕장
서해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변산반도 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하얀 모래와 푸른 솔숲이 어우러졌다 하여 '백사청송' 해수욕장으로도 불린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해수욕장의 하나로 1933년에 개장되었다. 곱디 고운 모래해변이 끝없이 펼쳐져 있으며, 서해안의 해수욕장치고는 물빛도 맑은 편이다. 더욱이 평균수심이 1m 밖에 되지 않고 수온이 따뜻해서 해수욕장으로서의 조건이 아주 좋다.
변산 해수욕장
일몰이 아름다운 낙조공원
낙조공원의 여러 조형물
누에섬 설명판
누에섬
사랑의 낙조공원에서 본 누에섬 전경
서해랑길 부안 48 코스 종점인 변산 해수욕장 사랑의 낙조공원에서
오늘 트레킹을 마무리 합니다.
'코리아 둘레길, 서해랑길(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랑길 45 코스 (0) | 2025.04.13 |
---|---|
서해랑길 47 코스 (0) | 2025.03.09 |
서해랑길 49 코스 (0) | 2025.02.09 |
서해랑길 50 코스 (0) | 2025.01.26 |
서해랑길 51 코스 (0) | 2025.01.12 |